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왜 해마다 산불이 대형화되고 있는가?”

by 사마견우 2025. 3. 29.
728x90
반응형
SMALL


대형산불의 진짜 원인은 따로 있다? 산림청이 말하지 않는 이야기


매년 반복되는 대형 산불, 우리가 몰랐던 불길의 배경

🔥 “작은 불씨가 어떻게 대형 산불로 확산될 수 있을까?”

지난 3월, 경남 산청과 하동, 경북 의성, 안동, 청송 등 전국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하루 42대 헬기, 수십 대의 진화차가 동원돼도 꺼지지 않는 불길…
이쯤 되면 우리는 물어야 합니다.

“왜 해마다 산불이 대형화되고 있는가?”



❗ 진짜 원인 ① : ‘소나무림’이라는 불 폭탄


산불이 휩쓴 지역을 들여다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소나무 위주의 숲입니다.

🌲 소나무는 송진이 많아 쉽게 불이 붙고,
🔥 불길이 거세고 높아 쉽게 번지며
🌬️ 바람을 타고 수 km 떨어진 곳까지 불씨를 날립니다.

“참나무는 살아남았지만, 소나무는 모조리 타버렸다.”

실제로 불에 강한 활엽수림은 산불 피해가 적고,
산불 후에도 다시 살아나는 회복력이 강한 반면,
소나무는 완전히 전소돼 수십 년 키운 숲이 한 번에 사라집니다.



❗ 진짜 원인 ② : 활엽수 제거하고 만든 ‘송이 숲’


산림청은 그동안 ‘숲가꾸기’라는 이름으로
🌳 활엽수를 제거하고
🌲 소나무만 남긴 단순림 구조를 조성해 왔습니다.
그 이유는 송이버섯을 쉽게 따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이 단순림이 대형 산불의 핵심 배경이 되고 있죠.
울진·합천·밀양·안동 산불은 모두 이런 소나무림에서 시작됐습니다.




❗ 진짜 원인 ③ : 과도한 벌목과 산지 개발


산청 산불 발화 지점을 가보니
산 중턱까지 벌목 후 두릅을 심은 밭이 있었습니다.
• 산림 하단부의 나무가 제거돼 건조해지고
• 불씨가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번지게 되는 구조

🔥 건조한 땅 + 소나무 + 바람 = 대형 화재 공식



❗ 진짜 원인 ④ : 산림청의 진화 실패와 ‘임도 핑계’


산림청은 매번 “임도가 부족해서 산불을 끄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의성 산불의 현장을 보면,
임도도 있었고, 물도 있었지만 산불은 막지 못했습니다.

결국 소나무 숲 자체가 불에 너무 쉽게 타버리는 구조였기 때문입니다.



🌿 진짜 대책은?


✅ 혼효림 복원 – 소나무와 활엽수가 어우러진 건강한 숲
✅ 산림 정책의 전환 – 송이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우선
✅ 산불 피해의 근본 원인 조사 – 단순 ‘발화자 처벌’이 아닌 구조적 원인 해결



☘️ 진달래는 살아남았다


불에 탄 숲에서도 진달래는 멀쩡했습니다.
물기를 품은 활엽수의 생존력은
불에 대한 자연의 방어막입니다.

🔥 대형 산불의 교훈은 분명합니다.
더 이상 불에 잘 타는 숲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는 것.



마무리하며


지금 이 순간에도 숲 어딘가에서는
송이를 위해 활엽수가 잘리고 있을지 모릅니다.
그리고 내년 봄, 또다시 산이 타오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기후 탓만 하지 말자.
정말 위험한 건 불이 아니라,
숲을 불에 취약하게 만든 우리의 선택이다.”




#대형산불 #산불원인 #소나무림위험성 #산림청정책 #기후변화아님 #혼효림복원 #송이숲의그늘 #활엽수의힘 #산불예방진짜방법

728x90
반응형
LIST